틀린 내용이나 지식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2021.01.03 내용 수정 2021.01.07 내용 업데이트 💡 memchr에 대하여 환경 c, c++ C에서는 C++에서는 Prototype void *ft_memchr(const void * ptr, int value, size_t num); ptr : 검색을 수행할 부분의 시작 주소이다. value : 찾을 값으로, int 로 값이 전달되지만 함수 내부적으로는 한 바이트씩 비교하기 때문에 이 값은 unsigned char 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num : 검색을 시작한 부분 부터 검색을 수행할 만큼의 바이트 수 memchr 목적 메모리 블록에서의 문자를 찾는다. ptr 이 가리키는 메모리의 처음 num 바이트 중에서 처음으로 value..
(2021.01.03 내용 수정) dest와 src 전부 NULL일때 return (NULL)로 수정 2021.01.07 내용 업데이트 2021.12.02 memmove 내용 수정 💡 memcpy에 대하여 환경 c, c++ c++에서는 c에서는 Prototype void *memcpy(void *dest, const void *src, size_t num); dest : 채우고자 하는 메모리의 시작 포인터(시작 주소) src : 메모리에 채우고자 하는 값, int형 이지만 내부에서는 unsigned char(1 byte)로 변환되어서 저장된다. num : 채우고자 하는 바이트의 수. 즉, 채우고자 하는 메모리의 크기 memcpy함수의 인자인 source 가 가리키는 곳 부터 num 바이트 만큼을 dest..
틀린 내용이나 지식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2021.01.03 내용수정) 2021.01.07 내용 업데이트 💡 💡 memset에 대하여 환경 c, c++ 목적 memset 함수는 어떤 메모리의 시작점부터 연속된 범위를 어떤 값으로(바이트 단위) 모두 지정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void *memset(void *dest, int value, size_t count); dest : 채우고자 하는 메모리의 시작 포인터(시작 주소) value : 메모리에 채우고자 하는 값, int형 이지만 내부에서는 unsigned char(1 byte)로 변환되어서 저장된다. count : 채우고자 하는 바이트의 수. 즉, 채우고자 하는 메모리의 크기 return value memset()함수는 ..
전반적인 Makefile의 내용 Makefile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사이트. Makefile 간단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사이트 예제와 같이 자세히 설명 하는 사이트 docs makefiletutorial 외국사이트인데 상당히 자세하게 설명 돼 있고 모든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라이브러리 생성 * ar 명령에 관해서 참고 위 사이트들을 참조 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어느 사이트를 보던지 makefile에 대한 이해는 쉽지 않았고, 나에게 필요한 기능들을 찾으려면 doc들을 뒤져보는 수밖에 없었다. 구글링이 답이다.. 찾다보니 필요한 기능들을 찾는 것도 방법이지만 하나의 docs를 자세히 읽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2021.01.07 sudo & passwd 내용 수정 2021.01.05 이미지와 내용 보강 🔕 Ubuntu 백스페이스 소리 없애기 윈도우 10에서 우분투를 다운 받았는데 소리가 굉장히 거슬려서 해결해봤습니다.. 만약 리눅스 명령어를 아직 잘 모르신다면 구글링하시면서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set bell-style none vim ~/.inputrc #.input를 생성한다. ~/.inputrc를 만들어서 set bell-style none을 내용으로 추가해주는 것입니다. set bell-style none내용을 추가하신 뒤에 :wq로 저장합니다. 그 다음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줍니다. source ~/.inputrc 그리고 이 명령을 실행하시고 소리가 안난다면 더이상 다른 작업은 필요 없으실겁니다...

DarkBlue 색상 안나오게 바꾸기 최근에 windows 10 Store Ubuntu를 설치했습니다. 근데 위 그림과 같이 DarkBlue 색상이 터미널에서 잘 안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이 색상을 바꾸려고 웹 서핑을 해봤습니다. 생각보다 복잡하게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엄청 간단합니다! 차근차근 따라와주세요! 먼저 .bashrc 파일을 편집을 해줍니다. 아래 명령어를 따라 쳐주세요. vim ~/.bashrc //사용자 계정만 설정 sudo vim /etc/bash.bashrc // 전역설정 치신 뒤, 맨 마지막 줄에 아래 Text들을 추가해서 붙여넣기 해주세요. LS_COLORS='rs=0:di=1;35:ln=01;36:mh=00:pi=40;33:so=01;35:do=01;35:bd=40;33;01:cd=..
환경변수 보는법 현재 리눅스에 등록된 전체 환경변수를 보시러면 터미널에 env , printenv를 치면 전체 등록된 환경변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하나의 환경변수만을 확인하시고 싶으시다면 echo $[환경변수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unset[환경변수] 를 사용하여 등록된 환경변수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전역환경변수 등록 하는 법 export [환경변수]=[환경변수내용]를 쓰시면 등록돼 있는 환경변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양옆에 빈칸이 있으면 안됩니다! export는 일회성의 환경변수를 등록하는 것 입니다. 터미널을 재시작하면 해당 환경변수가 해제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환경변수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vi 에디터를 통해 설정해줍니다. 1. 파일수정 $ vim..
ManMonth란 개념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큰 글씨의 ManMonth부터 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 멘토님과 멘토링을 진행했는데 나의 시간관리를 위한 Man Month라는 개념을 들었다. 굉장히 생소한 개념이라 처음에는 잘 이해를 못했었지만, 멘토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어떤 의미로 말씀하시는지 그제서야 이해했다. 멘토님과 멘토링중에도 난 Max Month로 알고있었지만 나중에 찾아보니 Man Month 를 의미했다... 이제 내가 사회로 나아갔을때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아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나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다. 42seoul Piscine에서의 과정은 정말 이제와 생각해보니 힘든 과정을 대비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이자 준비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정확한 단어의 정의..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코테
- c언어알고리즘
- flexbox
- 프로그래머스 자바
- 42서울 합격
- 42서울
- 마크다운 이미지 업로드
- vscode
- C언어문제
- JavaScript
- 42서울 라피신
- Git
- 42서울 합격 후기
- 백준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
- C언어
- HEXO
- 자바스크립트
- JS
- 42seoul
- css
- git vi
- c언어 함수
- React
- windows 10 ubuntu
- vscode commit vi
- C언어 문제
- htm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